카테고리 없음 / / 2023. 4. 4. 15:12

결혼할때 누나 부모님지원 친척 친한친구 기본 축의금

다양한 주제로 토픽을하고 있는 블라인드앱에서 결혼생활에 관한 이야기가 올라왔습니다. 주제는 결혼하는 사람들은 부모님 지원과 친척,친한친구의 축의금 문제 

 

요즘 물가가 올라가서 예식장 식권이 과거 보다 훨씬 비싸졌다고 합니다. 한때 3만원이였던 기본 축의금이 5만원에서 현재 7만원정도는 내야한다고 합니다. 

 

 

 

1. 결혼식 부모님 지원 받았어?

 

 

 

결혼하는 사람들은 부모님 지원을 받았는가?

 

 

 

 

 

 

 

2. 집안차이나는 결혼으로 고민중인 직장인

 

 

 

집안차이로 인해 신랑은 부모님에게 지원여부를 물어보기 미안하다는 글입니다. 그에대한 의견

 

 

 

부모님도 대출로 결혼자금을 지원해주는것이기 때문에 부담되고 그 빚을 갚아야 하는데 부모님 입장도 고려해야한다는 반응입니다. 

 

 

 

 

 

3. 직장 상사의 결혼 축의금 

 

 

 

 

 

결혼식 선배 축의금 5만원을 지급했으나 오히려 욕을 먹었다는 직장인의 글입니다.

 

 

과거 5만원 정도면 최저 축의금에 속하지만 친한 동료라면 5만원이 아닌 최소 10만원은 해야한다고 합니다. 

 

 

 

 

형 누나 친척형 친척누나 친척언니 친척동생 친척 동생 결혼식 결혼 축의금 금액 최소 금액 식권 금액 10만원 5만원 상사 식대

축의금에대한 의견으로는 기본 5만원/ 서울 7만원 / 수도권 6만원 / 지방 5만원이 괜찮다고 하는 의견입니다. 

 

 

 

1. 5만원 내는 경우 

1-1 ) 결혼식 참석 하지 않은 경우 

1-2 ) 결혼식 참석 하였으나 인사만 하고 식사를 하지 않은 경우 

 

2. 10만원 내는 경우

결혼식 참석 후 식사한 경우

 

 

 

친척형 또는 언니 누나 동생의 축의금 금액

 

 

형 누나 친척형 친척누나 친척언니 친척동생 친척 동생 결혼식 결혼 축의금 금액 최소 금액 식권 금액 10만원 5만원 상사 식대

친척들의 결혼식은 받은만큼 돌려줍니다. 그 액수를 고려해서 내긴 하지만 처음 스타트를 시작한다면 조금 생각해볼 만 하겠죠. 

 

대부분 가족 전체에서 한번에 내는 경우가 많은데요 많게는 100만원 적게는 50만원 정도 냅니다.

 

 

1. 가족 전체가 한꺼번에 낼 경우  50~100만원

 

 

2. 내가 미취업 상태인 경우 10~20만원 (내가 학생인 경우 또는 대학원생 포함 )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